맥머도 드라이 밸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맥머도 드라이 밸리는 남극 횡단 산맥 내에 위치하며, 데브넘 빙하, 코튼 빙하, 페라 빙하에 둘러싸인 약 4,000제곱킬로미터의 지역이다. 빅토리아 계곡, 라이트 계곡, 테일러 계곡 등 주요 계곡과 다양한 지형, 호수, 강이 존재하며, 세계에서 염도가 높은 호수 중 일부가 위치해 있다. 극도로 낮은 습도와 강한 카타바 바람으로 인해 건조한 기후를 보이며, 독특한 환경으로 인해 화성과 유사한 환경으로 여겨진다. 지질학적으로는 변성암, 화강암, 현무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4년 환경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맥머도 드라이 밸리는 로스섬 맞은편, 남극 횡단 산맥 내에 위치하며, 약 4000km2에 달하는 지역이다. 북쪽으로는 데브넘 빙하와 코튼 빙하, 남쪽으로는 페라 빙하, 서쪽으로는 남극 횡단 산맥, 동쪽으로는 윌슨 산록 빙하로 둘러싸여 있다. 내부에 모레인으로 덮인 세 개의 큰 계곡 (북쪽에서 남쪽으로 빅토리아 계곡, 라이트 계곡, 테일러 계곡)이 존재한다. 해발 고도는 20미터에서 350미터이다.
2. 지리
2. 1. 주요 지형
맥머도 드라이 밸리에는 계곡, 빙하, 호수, 강 등 다양한 지형이 분포한다.
드라이 밸리의 호수 중 일부는 세계에서 가장 염도가 높은 호수에 속하며, 아살 호 또는 사해보다 염도가 높다. 이 중 염도가 가장 높은 곳은 작은 돈 후안 연못이다.
맥머도 드라이 밸리는 로스섬 맞은편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데브넘 빙하와 코튼 빙하, 남쪽으로는 페라 빙하, 서쪽으로는 남극 횡단 산맥, 동쪽으로는 윌슨 산록 빙하로 둘러싸여 있다. 면적은 약 4000km2이다.
2. 1. 1. 계곡
맥머도 드라이 밸리에서 주요 세 계곡은 북쪽에서 남쪽 순서로 다음과 같다.[18]
빅토리아 계곡 서쪽에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다음과 같은 계곡들이 있다.
발함 계곡에서 남쪽으로 뻗어 있으며, 서쪽에서 동쪽으로 다음과 같은 계곡들이 있다.
테일러 계곡 서쪽에는 피어스 계곡이 있다.
더 남쪽에는 서쪽의 로열 소사이어티 산맥과 맥머도 해협 서해안의 쾨틀리츠 빙하 엽 사이에 북쪽에서 남쪽으로 다음과 같은 계곡들이 있다.
알라트나 계곡은 가장 북쪽에 위치하며, 벤슨 빙하 북쪽에 있다.[17]
2. 1. 2. 빙하
맥머도 드라이 밸리에는 다음과 같은 빙하들이 있다.
맥머도 드라이 밸리는 로스섬 맞은편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데브넘 빙하와 코튼 빙하, 남쪽으로는 페라 빙하, 서쪽으로는 남극 횡단 산맥, 동쪽으로는 윌슨 산록 빙하로 둘러싸여 있다. 면적은 약 4000km2이다. 내부에 모레인으로 덮인 세 개의 큰 계곡 (빅토리아 계곡, 라이트 계곡, 테일러 계곡)이 존재한다.
2. 1. 3. 호수
드라이 밸리의 호수 중 일부는 세계에서 가장 염도가 높은 호수에 속하며, 아살 호 또는 사해보다 염도가 높다. 이 중 염도가 가장 높은 곳은 작은 돈 후안 연못이다.
계곡 | 호수 이름 |
---|---|
빅토리아 밸리 | 비다 호 |
빅토리아 밸리 | 토마스 호 |
라이트 밸리 | 반다 호 |
라이트 밸리 | 브라운워스 호 (담수) |
라이트 밸리 | 돈 후안 연못 |
테일러 밸리 | 프릭셀 호 |
테일러 밸리 | 호어 호 |
테일러 밸리 | 차드 호 |
테일러 밸리 | 파레라 연못 (담수) |
테일러 밸리 | 보니 호 |
피어스 밸리 | 조이스 호 |
가우드 밸리 | 가우드 호 |
마이어스 밸리 | 마이어스 호 |
2. 1. 4. 강
계곡 | 강 이름 |
---|---|
빅토리아 계곡 | 카이트 스트림 |
라이트 계곡 | 오닉스 강 |
테일러 계곡 | 도란 스트림 |
테일러 계곡 | 빈센트 크릭 |
테일러 계곡 | 크레센트 스트림 |
테일러 계곡 | 하니쉬 크릭 |
테일러 계곡 | 휴이 크릭 |
테일러 계곡 | 로스트 씰 스트림 |
2. 1. 5. 기타 지형
- 블러드 폴스: 테일러 빙하에서 흘러나와 웨스트 보니 호수로 유입되는 철 산화물로 인해 붉은색을 띠는 수류 현상.
- 가고일 능선: 라이트 계곡에 있는 침식된 노출 암석 능선.
- 에어데브론식 빙폭: 라이트 어퍼 빙하 상단에 있는 일련의 빙폭.
- 배틀쉽 곶: 알라트나 계곡에 있는 사암 곶.
3. 기후
드라이 밸리는 습도가 극도로 낮고 눈이나 얼음이 없어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이 지역은 산이 높아 동남극 빙상에서 흘러나오는 얼음이 로스해로 가는 것을 막아 건조하다. 4800km2 면적의 이 밸리는 남극 대륙의 약 0.03%를 차지하며, 남극에서 가장 넓은 무빙상 지역이다. 밸리 바닥은 자갈로 덮여 있고, 얼음쐐기 다각형 패턴 지형이 나타난다.[6]
이곳의 독특한 환경은 낮은 습도, 강수량 부족, 가타바 바람의 영향 때문이다.
3. 1. 카타바 바람
가타바 바람은 차갑고 밀도가 높은 공기가 중력의 힘에 의해 언덕 아래로 끌려 내려갈 때 발생한다. 이러한 바람은 320km/h의 속도에 달할 수 있으며, 내려가면서 따뜻해지고 모든 물, 얼음 및 눈을 증발시킨다.[7] 건조한 바람은 눈을 빠르게 증발시키고 토양으로 녹는 양은 적다. 여름에는 이 과정이 단 몇 시간 밖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3. 2. 강수량
지난 100년 동안의 기록을 보면 연간 강수량은 약 100mm이며, 거의 전적으로 눈의 형태로 내린다. 이것은 이 지역의 낮은 습도에 기여한다.[8]3. 3. 빙하 녹은 물
여름철 몇 주 동안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여 빙하가 녹으면서 작은 담수 시내가 형성된다.[9] 이 시내들은 밸리 기저부의 호수로 흘러 들어가는데, 이 호수는 바다로 유출되지 않아 염도가 높다.4. 지질
맥머도 드라이 밸리는 로스섬 맞은편, 남극 횡단 산맥 서쪽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데브넘 빙하와 코튼 빙하, 남쪽으로는 페라 빙하, 동쪽으로는 윌슨 산록 빙하로 둘러싸여 있다. 내부에는 모레인으로 덮인 빅토리아 계곡, 라이트 계곡, 테일러 밸리가 존재한다.[18] 기반암은 후기 선캄브리아 시대 또는 초기 고생대 변성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 쥐라기 비컨 초군과 페라 돌러라이트가 놓여 있다.
4. 1. 암석 구성
맥머도 드라이 밸리의 기저암은 후기 선캄브리아 시대 또는 초기 고생대 스켈턴 군 변성암으로, 주로 중간 내지 고품위 대리석과 석회 편암인 아스게르드 형성을 포함한다.[10] 로스 조산대 동안 후기 캄브리아기–초기 오르도비스기에는 고생대 화강암 항만 관입암이 화강암 플루톤과 암맥 형태로 스켈턴 군에 관입했다.[10] 기저 복합체 위에는 쥐라기 비컨 초군이 놓여 있으며, 이는 다시 페라르 돌러라이트 층과 암상에 의해 관입된다.[10]4. 2. 맥머도 화산군
맥머도 화산군은 테일러 밸리와 라이트 밸리의 퇴적구에 현무암 스코리아 원뿔과 용암류로 관입되거나 층상 구조를 이룬다. 이 현무암의 연령은 2.1~4.4Ma이다.[10][11]4. 3. 드라이 밸리 드릴링 프로젝트
1971년부터 1975년까지 진행된 드라이 밸리 드릴링 프로젝트는 테일러 밸리 내 플라이스토세 층의 두께가 137~275m이며, 이 층이 층상 사암, 자갈 역암, 층상 실트 이암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혀냈다. 이 플라이스토세 층은 부정합으로 플리오세 및 마이오세 빙퇴석 위에 놓여 있다.[10][11]5. 생태
맥머도 드라이 밸리에는 극한 환경에 적응한 다양한 생명체가 서식하고 있다. 2004년, 계곡의 일부가 환경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5. 1. 극한 미생물
내생 박테리아는 건조한 공기로부터 보호받는, 비교적 습한 암석 내부에서 건조 계곡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름 융빙수는 토양 영양분의 주요 공급원이다.[12] 과학자들은 건조 계곡을 지구상의 다른 어떤 환경보다 화성과 가장 가까운 곳으로 간주하며, 따라서 가능한 외계 생명체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중요한 원천으로 여긴다.혐기성 생물인 박테리아는 테일러 빙하 아래 영하의 온도에서 철과 황을 기반으로 하는 신진대사를 하며 산다.
이전에는 블러드 폴스에서 나타나는 붉은 얼음을 조류가 물들인다고 생각했지만, 현재는 높은 수준의 산화철이 얼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14]
아일랜드와 미국 연구자들은 미생물 개체군을 조사하고 화성의 표면과 가장 유사한 건조 계곡의 영구 동토층에서 시료 채취를 위해 설계된 드릴을 테스트하기 위해 2013년에 유니버시티 계곡에서 현장 탐험을 수행했다. 그들은 영구 동토층에서 살아있는 유기체를 발견하지 못했는데, 이는 인간이 방문한 장소 중 활성 미생물 생명체가 없는 지구상의 첫 번째 장소였다.[15]
2014년에는 오클랜드 공과대학교(AUT)의 과학자 팀이 맥머도 건조 계곡에서 드론을 사용하여 식생의 기준 지도를 만들었다. 2015년에는 뉴질랜드 남극 연구소가 AUT에 무인 항공기를 운용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자금을 지원했다. 남극의 연이은 여름 계절 동안 AUT 팀은 센티미터 미만의 해상도로 3차원 지도를 만들었으며, 현재 이를 기준선으로 사용하고 있다.[16]
5. 2. 블러드 폴스
이전에는 블러드 폴스의 붉은 얼음이 조류에 의해 붉게 물든다고 생각했지만, 현재는 산화철 농도가 높아 얼룩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14]5. 3. 화성과의 유사성
과학자들은 맥머도 드라이 밸리를 지구상에서 화성과 가장 가까운 곳으로 간주하며, 따라서 가능한 외계 생명체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중요한 원천으로 여긴다.[12]테일러 빙하 아래 영하의 온도에서 철과 황을 기반으로 신진대사를 하는 혐기성 생물인 박테리아가 서식한다.
이전에는 블러드 폴스에서 나타나는 붉은 얼음을 조류가 물들인다고 생각했지만, 현재는 높은 수준의 산화철이 얼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14]
2013년 아일랜드와 미국 연구자들은 유니버시티 계곡에서 현장 탐험을 수행하여 미생물 개체군을 조사하고, 화성 표면과 가장 유사한 건조 계곡의 영구 동토층에서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설계된 드릴을 테스트했다. 그들은 영구 동토층에서 살아있는 유기체를 발견하지 못했는데, 이는 인간이 방문한 장소 중 활성 미생물 생명체가 없는 지구상의 첫 번째 장소였다.[15]
2014년 오클랜드 공과대학교(AUT) 과학자 팀은 맥머도 건조 계곡에서 드론을 사용하여 식생의 기준 지도를 만들었다. 2015년 뉴질랜드 남극 연구소는 AUT에 무인 항공기 운용 방법 개발을 위한 자금을 지원했다. 이후 남극의 여름 계절 동안 AUT 팀은 센티미터 미만의 해상도로 3차원 지도를 만들었으며, 현재 이를 기준선으로 사용하고 있다.[16]
5. 4. 2013년 유니버시티 계곡 탐사
아일랜드와 미국 연구자들은 2013년에 유니버시티 계곡에서 현장 탐험을 수행하여 미생물 개체군을 조사하고, 화성 표면과 가장 유사한 건조 계곡의 영구 동토층에서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설계된 드릴을 테스트했다.[15] 이들은 영구 동토층에서 살아있는 유기체를 발견하지 못했는데, 이는 인간이 방문한 장소 중 활성 미생물 생명체가 없는 지구상의 첫 번째 장소였다.[15]5. 5. 드론을 이용한 식생 지도 제작
2014년 오클랜드 공과대학교(AUT) 과학자 팀은 맥머도 드라이 밸리에서 드론을 이용하여 식생의 기준 지도를 만들었다. 2015년 뉴질랜드 남극 연구소는 AUT에 무인 항공기 운용 방법 개발을 위한 자금을 지원했다. AUT 팀은 남극에서 여름 계절 동안 센티미터 미만의 해상도로 3차원 지도를 만들었으며, 현재 이를 기준선으로 사용하고 있다.[16]참조
[1]
뉴스
In the cold of the night
http://antarcticsun.[...]
2008-01-13
[2]
웹사이트
What is the Driest Place on Earth?
https://www.universe[...]
2021-04-12
[3]
서적
Air temperature, wind, precipitation and atmospheric humidity in the McMurdo Region, Antarctica
https://www.wgtn.ac.[...]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Department of Geology
2023-12-31
[4]
저널
Climate From the McMurdo Dry Valleys, Antarctica, 1986–2017: Surface Air Temperature Trends and Redefined Summer Season
https://onlinelibrar[...]
2020-07-16
[5]
웹사이트
ASMA 2: Mcmurdo Dry Valleys, Southern Victoria Land
http://www.ats.aq/de[...]
Secretariat of the Antarctic Treaty
[6]
저널
Landform and Soil Development in the McMurdo Dry Valleys, Antarctica: A Regional Synthesis
2002-01-01
[7]
서적
The Book of General Ignorance
Faber and Faber
2006-01-01
[8]
서적
Antarctica and the Arctic Circle: A Geographic Encyclopedia of the Earth's Polar Region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9-04-24
[9]
웹사이트
NASA: McMurdo Dry Valleys
https://earthobserva[...]
NASA
2022-03-29
[10]
서적
The Cainozoic glacial record in south Victoria Land: a geological evaluation of the McMurdo Sound drilling projects, in The Geology of Antarctica
Clarendon Press
1991-01-01
[11]
서적
Precambrian ancestry of the Asgard Formation (Skelton Group): Rb-Sr age of basement metamorphic rocks in the Dry Valley region, Antarctica, in Geological Evolution of Antarct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01-01
[12]
저널
Biogeochemical stoichiometry of Antarctic Dry Valley ecosystems
https://pdxscholar.l[...]
2007-03-01
[13]
웹사이트
Ancient, frozen ecosystem produces blood-red ice flows
https://arstechnica.[...]
2009-04-17
[14]
저널
A Contemporary Microbially Maintained Subglacial Ferrous "Ocean"
2009-04-17
[15]
저널
Nearing the cold-arid limits of microbial life in permafrost of an upper dry valley, Antarctica
2016-01-19
[16]
저널
Mapping biodiversity in a changing Antarctica
2019-01-01
[17]
지도
Map A: Map of the McMurdo Dry Valleys Area
http://www.antarctic[...]
[18]
서적
北極・南極探検の歴史 極限の世界を体感する19のアクティビティ
丸善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